<하나님의 이름>
이스라엘 백성은 거룩한 하나님의 이름을 함부로 감히 소리내어 부를 수 없다는 생각에서 구약성경에서 하나님을 ‘YHWH(יהוה)’라고 모음없이 자음으로만 표기를 했고 이것을 발음하지 않았습니다.
이것을 ‘테트라그라마톤(Tetragrammaton)’ 이라고 부르며 ‘신성 4문자’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 “테트라”(τετρα)는 “넷”을 의미하고, “그라마톤”(γράμματον)은 “글자”를 뜻합니다.)
이 ‘YHWH(יהוה)’의 각 글자는 י (요드), ה (헤이), ו (바브), ה (헤이) 입니다. 이 이름은 마치 ‘ㄱ(기역), ㄴ(니은), ㄷ(디귿) 하고 부르는 것과 같습니다.
‘YHWH’를 한글로 비유해보면 ‘하나님’을 ‘ㅎㄴㄴ’으로 표시한 것과 같습니다.
이스라엘인들은 실제 그들은 하나님의 이름을 입으로 소리내어 부르지 않았기 때문에 그 단어의 소리가 어떻게 되는지 모세시대 이후로 아무도 알 수가 없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그래도 하나님을 어떻게든 입으로 지칭해야 했기 때문에 그냥 ‘주(LORD)’ 또는 ‘아도나이(אדני , 우리 주)’로 간접적으로 불렀습니다.
히브리어 문자는 원래 모음이 없는 자음만으로 구성된 문자였습니다. 모음은 관습처럼 부모의 세대에서 자녀의 세대로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다 시간이 흐르면서 히브리어는 점차 잊혀졌고, 아람어가 통용되면서 히브리어가 사어(死語)가 되자, 7세기에 ‘마소라 학자’들이 성경 사본을 옮겨적는 과정에서 자음만 있던 히브리어 문자 표기에 모음을 추가해 달기 시작했습니다.
이 때 ‘아도나이(adonay)’를 나타내는 마소라 모음을 신성한 4문자 YHWH에 모음으로 첨가하여 ‘예호와(yehowah), ‘야훼(yahweh)’ 등의 이름이 나타나게 되었습니다. ( ‘여호와’는 독일식 발음으로 전해진 것입니다.)
이렇게 하여 성경에 하나님을 발음할 수 있는 이 단어들이 현재는 표기되고 있습니다.
Add comment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