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볼로를 본받아>
(사도행전 18:24)
“알렉산드리아에서 난 아볼로라 하는 유대인이 에베소에 이르니 이 사람은 언변이 좋고 성경에 능통한 자라”
(사도행전 18:28)
“이는 성경으로써 예수는 그리스도라고 증언하여 공중 앞에서 힘있게 유대인의 말을 이김이러라”
알렉산드리아에서 난 아볼로는 언변이 좋고 성경에 능통했다고 합니다.
그는 유명한 설교자로 바울조자 “나는 심었고 아불로는 물을 주었다”고 하며 아볼로를 탁월한 복음전도자로 인정하였습니다.
그러나 그는 초기에 유명 설교자이면서도 그리스도의 복음을 제대로 알지 못했습니다.
아마 세례 요한에게 배운 내용으로만 설교를 했던 것 같습니다.
(사도행전 18:25-26)
“그가 일찍이 주의 도를 배워 열심으로 예수에 관한 것을 자세히 말하며 가르치나 요한의 세례만 알 따름이라. 그가 회당에서 담대히 말하기 시작하거늘 브리스길라와 아굴라가 듣고 데려다가 하나님의 도를 더 정확하게 풀어 이르더라”
그러나 바울로 부터 온전한 복음을 전수받은 브리스길라와 아굴라 부부가 그의 설교를 듣고, 아볼로가 예수님에 대한 것을 전하기는 하는데 뭔가 아직 복음을 잘 모르고 있다는 것을 눈치챈 후, 그를 조용히 불러 제대로 된 복음을 가르쳐 줍니다. 그리고 아볼로는 그 복음이 진짜 복음이라는 것을 깨닫고 겸허히 받아들입니다.
그 이후 아볼로는 바울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위대한 복음설교자로 거듭납니다.
당시에 이름있는 아볼로가 평신도인 브리스길라와 아굴라 부부에게 복음의 가르침을 받았다는 것은그가 얼마나 겸손한 사람인지를 보여줍니다.
이것은 마치 대형교회 목사이며 저명한 부흥강사가 시골의 이름없는 부부에게 신학을 전수받는 것과 같습니다.
자신의 명성과 지위를 생각하면 브리스길라와 아굴라 부부에게 이 “무슨 하찮은 짓이냐”하며 화를 내고 자리를 박차고 나갈 법한대, 그는 그 부부로 부터 겸손히 복음을 듣고 받아들입니다. 참 겸손한 사람이 아닐 수 없습니다.
아볼로가 ‘언변이 좋다’고 하는 것은 논리에 탁월했다는 것을 뜻한다고 생각합니다.
성경에 능통했으며 그 성경의 말씀을 논리적으로 풀어, 예수님이 메시아임을 증언한 그를 유대인들이 이길 수 없었다고 하는 것은, 그가 지식과 논리를 모두 갖춘 매우 이성적인 사람이라는 것을 말해줍니다.
신앙은 아볼로 처럼 이성 위에서 확립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야만 복음을 아볼로 처럼 힘있게 전할 수 있을 것입니다.
아테네에서 에피쿠로스와 스토아 철학자들과 쟁론한 바울도 성령이 충만한 전도자이기도 했지만 당시 지식인 중에 지식인이었던 아테네 철학자들과 쟁론할 정도로 지식과 논리를 갖춘 이성적 믿음의 소유자이기도 했습니다.
믿음은 성령충만 한 믿음이어야 하며 세상 사람들과도 쟁론할 수 있는 이성충만한 믿음이기도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우리는 끝없이 성경을 공부하고 묵상하여 바울처럼, 아볼로 처럼, 지식과 논리를 갖추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기독교 변증가였던 C.S. 루이스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하나님은 게으름뱅이를 좋아하지 않으시지만, 지적인 면에서 게으른 사람은 더더욱 좋아하지 않으신다.”
Add comment
Comments